전체 글134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이 둘을 데리고 외출하면서,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를 탐독하는 나. 이건 마치 초콜릿을 먹으면서 다이어트 책을 읽는 형국이 아닌가, 하는 느낌도 잠시. 외출 준비 한번에 진빠질 때가 부지기수요, 관계의 무게가 버거울 때 역시 있었으나, 독신이지만 독신 아닌 삶을 사는 이들의 문장에 힘을 얻는다. "혼자를 잘 챙기는 삶은 물론 바람직하고 존경스럽다. 그러나 역시 남에게 해주는 기쁨을 누리는 삶이 더 재미있고 의욕적인 것 같다." 2019. 3. 24. 난다 <거의 정반대의 행복> "딸아이가 말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에바 초호기와 신지 같던(또는 태권브이와 훈이 같던) 우리 사이에 조금씩 선이 그러지기 시작했다. 시호는 점점 자라며 수백 개의 단어와 수십 개의 문장들. 수만 개의 생각들로 자기 세계를 쌓아갔다. 그리고 이제는 내가 아무리 자신만만하게 후우-하고 불어도 간단히 무너지지 않을 만큼 단단한 집을 지었다. 아이에게도 자신만의 바운더리가 생긴 것이다. 아무 때고 아이의 생각과 행동을 침범하던 나는 이제 아이의 초대를 받아야만 그곳에 들어갈 수 있다. 아이는 엄마를 "무지개가 뜰 만큼" 사랑한다며 쑤욱 끌고 들어갔다가도 "이런 엄마인 줄 알았다면 태어나지 말 걸 그랬어." 같은 고급 문장으로 문밖으로 쫓아내곤 한다. 물론 엄마인 나에게 대체로 아주 호의적인 집이라 다행이지만... 2019. 2. 12. 사회성을 빙자한 반사회적인 해법 사회성을 빙자한 반사회적 해법 민족사관고등학교에 자녀를 보낸 부모들의 수기를 모은 책이 있다. 이런 내용이 있다. 아이 종아리에 회초리 맞은 자국이 있었다. 이유를 물었고 아이는 자기가 강당에 모이는 시간에 자꾸 지각해서 맞은 거라고 했다. 잘못을 했기에 맞는 건 당연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예전에 할아버지에게 맞았던 기억이 났단다. 아들의 이 말에 엄마는 역시 ‘민사고에 보내길 잘했다’고 생각하며, 이리저리 체벌을 정당화한다. 민사고는 규칙을 위반하면 학생 법정이 열리고 여기서 징계가 확정되면 회초리를 맞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단다(지금은 고전 쓰기로 바뀌었다고 한다). 엄마는 이런 시스템의 우수성이 요즘 체벌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다는 일선 학교에도 널리 알려지길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어안이 벙벙하다. .. 2018. 9. 17. 한송이 <괜찮아지는 중입니다> 1. 책을 사면 준다는 우드 버터나이프에 제일 먼저 혹했다. 스웨덴에 사는 한국인 싱글맘이라는 작가 소개가 마음을 확 잡아 끌었다. 스웨디쉬는 어릴 때부터 목공을 배우는데 집집마다 있는 버터나이프 정도는 검씹기 급으로 만든다고 함. 아하! 작가가 스웨덴에 살고 있어서 목재 버터나이프를 사은품으로 제작했구먼! 캬 이 출판사 센스 터지는 거 보소. 목욕 문화를 소재로 한 '테르마이로마이'가 완간 선물로 독자한테 때비누 준 게 생각났다. 표지 그림이 쌀 닮았다고 생각했다. 읽으면서 한 장 한 장 넘기다보니, 아 이건 우리 쌀 품에 안겨야할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어 다 읽고 바로 선물했다. 제목과 참 잘 어울리는 뒷모습이다. 우는지 웃는지 표정이 보이진 않지만 머리를 한껏 올려 틀어묶는 저 행위는 여자라면 다 알.. 2018. 8. 13. 이렇게 가치 있는 애였는데! 과거의 이영자한테 오늘의 이영자가 야단 치고 싶다. 그렇게 업신여겼어 내가 나를 이렇게 가치 있는 애였는데 꾸준한 오랜 팬이 여기있습니다. 항상 나도 이영자 같은 친구가 있었으면, 이영자 같은 친구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요. 비록 티비 볼 시간이 없어 전참시를 한번도 보지 못했으나, 영자 언니 파이팅!! 2018. 8. 10. 한강 <소년이 온다> 어떤 이야기는 그 이야기가 써졌다는 것만으로도 의미를 갖는다. 누군가 그 삶속으로 걸어들어가 이해해 보려했다는 것만으로도, 읽는 사람은 위안 받는다. 내게 이 소설은 그런 것이다. 2018. 8. 5. 책 윤이형의 <굿바이> "나를 지키기 위해 당신은 기꺼이 이름을 바꾸려 할 것이다. 처음 보는 종교의 사원에 들어가 절을 하려 들 것이다. 가슴 뛰지 않는 것에 활짝 웃거나 동의하지 않는 것과 악수를 할지도 모른다. 베어야 할 때 칼집에 칼을 도로 넣고 대답해야 할 때 침묵할 것이다. 이 모든 일들을 당신은 반성 없이 소명처럼 받아들일 것이다. 어린 당신이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바라보던 어른들처럼 명쾌하게 말할 수 없는 사정을 몸속에 품고 무거운 빛깔의 덩어리가 되어가는 당신이 내게는 보인다. 내 귀에는 들린다." - 복중의 태아가 천사에게 지혜와 지식을 빼앗기기 전 엄마에게 건네는 말 2017. 12. 21. 책 <처음부터 엄마는 아니었어> "엄마의 아픈 마음은 기도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곤 했다. 엄마의 미안함, 엄마의 슬픔, 엄마의 고통이 느껴졌다. 나는 그게 불편했다. 엄마의 울음이 나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됐다는 생각 때문이었던 것 같다. 그 시절 내 엄마의 눈물은 참거나 조절할 수있는 게 아니었다. 자기 삶의 무게와 자식에 대한 사랑과 인생 본연의 슬픔이 차올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이를테면 땀 분비와도 같은 거였다. 미안함과 안타까움에 눈물을 참을 수 없을 만큼 거대한 사랑을 부담없이 받아내는 것이 가능할까. 여기에 부모 자식 관계의 본질적인 슬픔이 있는 것 같다." "영화 어바웃타임의 주제는 아이를 낳고 나면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는 거야." "아이의 예쁜 모습을 추억에서만 꺼내오려고 하는 건 마치 대자연을 앞에 두고 풍경 사진을 .. 2017. 12. 19. 책 <고대 로마인의 24시간> p197 우리가 사회 투쟁의 결과라고 믿거나 생각하는 일상생활의 많은 측면은 사실 이용 가능한 에너지 원천의 부산물이다. 여성 해방을 포함해서 말이다. 에너지와 기술이 없었다면 여성은 증조모가 살던 환경에 머물고 있을 것이다. 로마의 노예를 세탁기, 수도시설, 중앙난방, 티비, 타이프라이터와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다. 가전제품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에너지는 30명의 노예가 하는 일과 맞먹는다 우리 사회는 기술 혁신으로 복지, 자유시간, 여가 등에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2017. 12. 11.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