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4 한강의 '흰' 끝장을 덮자마자 아! 탄성이 나왔다. 내게 올해 최고의 소설은 한강의 '흰' 이 될 것 같다. 시집같은 크기와 두께가 부담없어 보여 도서관에서 집어들었는데, 와 대박이다. 일단 형식이 독보적이다. 난 이런 구성의 소설을 지금까지 본 적 없다. 흰 색을 중심에 두고 흰 것과 관련된 이미지들 예를 들어 강보, 배내옷, 진눈깨비 등을 끄집어 낸 뒤 각각에 살을 붙여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데, 각각은 독립적인 산문시 같으면서도 서사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문장 또한 독보적이다. 바사삭 쉽게 깨먹지 않고 혀로 굴려 천천히 음미하며 녹여먹고 싶은 문장들. 뺄 말도 더할 말도 없는 문장을 보고있노라니 정갈하고 깨끗한 방이 연상됐다. 같은 모국어를 쓰는데도 언어 구사의 수준이 다르단 생각이 들었다. 한국어가 이렇게 담백하.. 2017. 6. 21. 신천 남경막국수 머리털 나고 먹어본 막국수 중 가장 맛있다. 뭐 그렇다고 내가 막국수를 많이 먹어보고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 만두 빼고 모든 사진은 옥수의 작품 설빙에서 2차 내가 무슨 복을 지었길래 이 날 송박사의 멋진 강의도 듣고 쩡샤에게 밥도 대접받고 송박사에게 빙수도 얻어 먹고 했던가 아마 해달이 먹을 복이 아닌가하노라. 덧, 남경막국수가 월매나 맛있냐면 쩡샤의 빈그릇이 말해줌... 2016. 5. 20. 한강 '채식주의자'에 대한 짧은 대화 맨부커상 수상으로 하도 화제라 벗들과 나눈 대화를 다시 찾아봄 2016. 5. 17. 마포 진진 그리고 커피 콘하스 모든 사진은 '금손' 옥수수 선생 작품 마포 진진, 정말 정말 맛있다 그리고 길 건너편 커피 콘하스 커피 콘하스도 상당히 괜찮다 훌륭한 식당과 아름다운 장소도 장소지만 좋아하는 사람들과 먹고 마시는 것이 인생에서 손꼽히는 행복이란 걸 다시 한번 느낀 하루였다. 2017년 가을엔 하와이에 가서 고운이랑도 실컷 먹고 (술을) 마셔야지. 2016. 5. 13. 영화 <대니쉬걸> 이 영화는 눈이 즐거운 영화다. 배우도 화면도 아름답고 아름다우며 아름답기만 하다. 그것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세상에 이런 일도 있답니다~라며 흥미롭게 보여주기만 하지, 에이나르의 선택을 깊고 묵직하게 끌고나가지 못한다. 1. 평생 남자로 살던 에이나르가 여성 릴리로서의 정체성을 찾게 된 계기가 시기적으로 너무 늦는데다가, 너무 가볍기까지 하다. 다 자라 배우자와 결혼하고 즐거운 성생활도 하던 한 남자가, 어느 날 우연히 여성의 옷을 걸쳐본 계기 하나로 새로운 자아에 눈을 뜨는 게 납득이 안 됐다. 어린시절 동성친구와의 묘한 관계도 복선으로 깔기엔 너무 약하다. 이 영화는 에이나르가 아니라 배우자의 성전환에 혼란스러워하다가 결국 포용하기로 결정한 아내를 주인공으로 했다면 더 흥미로웠을 것 같다. 나는.. 2016. 4. 4. <서양 문명의 역사>를 보던 중 끄적 히브리 민족의 철학 편을 보다가 전도서에 나온 말들이 인상적이라 적어둠. "빠르다고 해서 달리기에 이기는 것은 아니며, 용사라고 해서 전쟁에서 이기는 것도 아니더라. 지혜가 있다고 해서 먹을 것이 생기는 것도 아니며, 총명하다고 해서 재물을 모으는 것도 아니며, 배웠다고 해서 늘 잘 되는 것도 아니더라. 불행한 때와 재난은 누구에게나 닥친다." "지혜가 어리석음보다 낫다고는 하나 지혜조차 행복에 이르는 확실한 길은 아니다. 왜냐하면 지식의 증가는 고통을 더욱 예민하게 느끼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헛된 세월을 사는 동안 두 가지를 봤다. 의롭게 살다가 망하는 의인이 있는가 하면 악한 채로 오래 사는 악인도 있더라. 그러니 너무 의롭게 살지도 너무 슬기롭게 살지도 말아라. 왜 스스로를 망치려 하는가. 너무.. 2016. 2. 3. 책, 책, 책 - 한겨레 이재성씨 글 1. 소설가 김영하는 산문집 에서 부자가 가난한 사람에게 돈을 주고 시간을 사는 마르셀 에메의 소설을 언급한 뒤, 최근 미국 뉴욕에서 유행한다는 ‘폰 스택’(Phone Stack)이라는 게임을 소개한다. 식당에 모여 식사할 때 각자의 휴대전화를 한가운데 쌓아놓고는 먼저 폰에 손대는 사람이 밥값을 내는 것이다. 좋게 보면 스마트폰 말고 대화에 집중하자는 취지일 수 있지만, 이건 일종의 파워게임이라고 김영하는 말한다. 휴대전화가 울려도 받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은 이른바 ‘갑’일 확률이 높다. 사회적 위치가 곤궁할수록 휴대전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스티브 잡스는 마르셀 에메의 소설을 더 나쁜 방향으로 실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제 가난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자기 시간을 헌납하면서 .. 2015. 8. 4. Robert Frank 2015. 7. 3. 4주년 식사 팔짱 끼고 다정히 연남동을 걸었다. 한낮의 열기가 흔적만 남은 밤 따뜻함과 시원함이 공존했던 28일 봄밤을 우리 둘이 걸었다. 2015. 6. 1.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