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핵심이 담겨있는 상징적 장면.
초라한 얼굴 초라한 옷차림의 조선족 식당 아줌마.
VS
그들처럼, 명품을 온 몸에 휘감고 고급 살롱에서 관리 받는 윤기나는 머릿결과 피부를 하고 앉아 있지만 그 대가로 가장 더러운 일을 도맡아 하고 있는 혜원.
가진 것이 없어도 물질을 똥으로 볼 수 있는 사람과
가진 것이 없어서 물질을 놓지 못하는 사람의 극명한 대비.
사랑하지도 않으면서 돈과 지위 때문에 재벌 회장 비위맞추며 사는 릴리한과
두 번 살 섞어보니 맛없어서 차버렸다고 패기있게 말하는 아줌마 역시 엄청난 대비 효과.
평등하게 살지 못하고 자신이 자기 주인되지 못하는 오혜원에게
아줌마가 외치신 명대사는 길이길이 가슴에 남으리.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청소 용역 직원 한 명과 회사 오너 한 명이
실은 다 똑같고 대등한 인간이라는 것을
자꾸 망각하게 하지요.
2.
동경과 욕망이 없으면
그들은, 그것들은 아무 것도 아니다.
세상에는 혜원같은 사람이 아줌마같은 사람보다 많으니까
그들이, 그들이 가진 것이 여전히 참 대단해질 수 있는 것.
실은 대상의 가치는 그것에서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오는 것이다.
3.
고운이가 예전에 했던, 여러 야구 카드 중에 인기 야구 카드는 생산자가 결정한 희귀 카드의 종류, 갯수에 의해 좌우된다는 말.
즉 개인의 욕망은 실은 온전히 그의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결정에 의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
드라마에 빠져 부지런히 그들의 집, 패션, 몸매를 훑는 나를 보니,
나 역시 그러한 속성을 일부 갖고있었다는 부끄러운 성찰.
혜원처럼 "세상 이치 배운다고 생각해." 라고 결론내지 말자는 결심.
'오래가는건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Miss.Violence (은밀한 가족) (4) | 2014.04.23 |
---|---|
박총's 일상 영성 앤솔로지 5강 (0) | 2014.04.13 |
<How I met your mother> 마지막 시즌 에피소드 21 (0) | 2014.04.02 |
박총's 일상 영성 앤솔로지 4강 (0) | 2014.03.30 |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3)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