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가는건전지

원서 <Maybe you should talk to someone>, Lori Gottlieb (로리 고틀립)

by 기름코 2024. 5. 15.

<Maybe you should talk to someone>은 심리 상담가인 저자가 자신의 상담 경험에 전문적인 인사이트를 녹여낸 책이다.

상담 사례는 크게 두 줄기로 나뉘는데 하나는 자신이 치료한 환자들의 이야기, 다른 하나는 반대로 자신이 환자로서 다른 상담가를 찾아가 상담을 받았던 내용이다.  이 두 이야기는 서로 교차 진행되고, 내담자의 변화는 소설처럼 기승전결이 있어서 흥미롭다.

이 책에서 상담 치료를 받는 내담자는 5명이다. 꿈에 그리던 대학 교수가 됐지만 암으로 인하여 죽을 날을 앞둔 30대 줄리, 에미상을 수상한 방송 프로듀서이지만 가족을 잃은 상실감과 죄책감으로 고통받는 40대 잭, 원가족과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자살을 생각하는 70대 노인 리타, 알콜 중독과 잘못된 관계를 되풀이하는 20대 샬럿. 그리고 이 책의 저자이자, 남친과의 이별 때문에 비관에 빠진 로리.

이들 내담자 5명은 보통 사람들이 겪을 법한 아픔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들의 상담 이야기를 따라가며 자신의 문제 해결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이 책의 가장 큰 효용은 (실제로 아주 비쌀 게 분명한) 고급 상담 치료를 책값 약 2만원에 간접 체험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을 읽다 보면 곰곰이 생각해볼만한 문장들이 많았다. 이 책의 서술 방식은 한번쯤은 들어 봤을 뻔한 문장도 어떤 에피소드와 엮어내느냐에 따라 새로운 내러티브가 만들어질 수 있단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여겨진다.  


밑줄 그었던 문장들, 그리고 그 이유를 정리해 본다.

1. 전 남친의 일거수일투족을 sns로 드론짓 하는 로리에게 상담가 웬델이 한 말 


There's a difference between pain and suffering. You're going to have to feel pain, everyone feels pain at times, but you don't have to suffer so much. You're not choosing the pain, but you're choosing the suffering." He goes on to explain that all of this *perseverating I'm doing, all of this endless rumination and speculation about boyfriends's life is adding to the pain and causing me to suffer. so he suggests, if I'm clinging to the suffering so tightly, I must be getting something out of it. It must be serving some purpose for me.


*perseverate 집요하게 반복하다 


이별 후에 sns로 엑스 근황 살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이별 같은 pain은 내 선택과 무관하게 벌어지는 고통이지만 suffering은 엑스의 sns를 염탐하면서 겪는, 즉 스스로 선택한 고통이라는 것을 짚어 주었던 구절이다. 인생에서 어떤 괴로운 일을 마주할 때 이게 어쩔 수 없는 pain인지, 내가 자초한 suffering인지를 구분해야 된다는 인사이트를 주었다. pain은 피할 수 없더라도 suffering은 피할 수 있으니까. 

 

2. 어디서부터 나아가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백한 로리에게 웬델이 한 말


Not knowing is a good place to start. (중략) don't judge your feelings; notice them. use them as your map. don't be afraid of the truth. 

문제를 해결할 때 우리는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상담가 웬델은 로리에게 감정을 지도로 사용하라고 조언한다. 이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성의 나침반을 사용하지 말고 감정에 귀 기울이라고? 스탠포드씩이나, 그것도 의대씩이나 나왔고, 노련한 상담가인 로리도 남친과의 이별에 이렇게 무너지는 걸 보면, 이성의 힘이 있다고 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아닌 게 분명하다. 
The things we protest against the most are often the very things we need to look at.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회피하고 저항하려는 것이 진짜 우리가 깊게 들여다 봐야 하는 것.
이 구절도 생각할 거리가 있다. 우리는 배우자를 선택할 때 같이 좋아하는 취향, 취미 등을 고려하는데,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이 뭘 싫어하는지를 면밀히 살피는 게 그 사람의 진짜 내면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3. 시한부 인생 30대 줄리와 그녀의 남편 매트의 선택 

Julie and Matt decided that they had to live their lives, even in the face of uncertainty. If they learned anything, it was that life is the very definition of uncertainty. What if Julie remained cautious and they didn't have a baby because they were waiting for the cancer to return, but it never did? Matt assured Julie that he would be a commited father no matter what happened with Julie's health. So it was decided. Looking death in the eye would force them to live more fully- not in the future, with some long list of goals, but right now. It didn't matter if they ended up in Italy
or Holland or someplace else entirely. They would hop on a plane and see where they landed. 
'고생고생해서 대학 교수가 됐는데 암이라니! 이제 아이도 가지고 좀 행복하게 살아볼라 했더니!'
줄리와 그녀의 남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기로 한다. 암이 다시 재발할지 안할지 아무것도 모르지만 그들은 예정대로 자신들이 살고 싶었던 삶을 원래처럼 살아내기로 한다. 그래서 아이를 갖는다. 그 모든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얼마 전에 만난 치타가 "나는 사람들이 버킷리스트를 왜 쓰는지 이해가 안 돼요."라고 했다. 그녀의 인생을 들여다 보면 왜 그런지 이해가 되었다. 하고 싶은 건 버킷 리스트에 올리지 않고 당장 시작하는 그녀이니까. 나는 바로 저런 태도가 그녀가 라이프 인플루언서로 만들었던 게 아닌가 싶다. 어떤 사람을 그걸 죽음을 목전에 두고 깨닫는데, 삶이 정말 자기 중심에 놓인 사람은 죽음을 인식하지 않아도 그렇게 산다. 줄리의 이야기는 치타의 말과 연결되어 내게 울림을 주었다. 

 

4. 구글스토킹을 비롯해 딴짓에 시간을 낭비하는 이유 

 

Boyfriend appeared on the scene just in time to distract me from this internal battle. And once he was gone, I filled the void by google-stalking him when I should have been writing. So many of our destructive behaviors take root in an emotional void, an emptiness that calls out for something to fill it.   
"자꾸 딴짓이 하고 싶어? 엑스를 구글링해? 중요한 일을 앞뒀을 때 그런 일들은 자기파괴적인 행동들. 자꾸 그런 행동을 한다면 당신의 내면의 공허가 무엇인지부터 찾아라." 라는 인사이트를 주었던 문장. 

 

5. 잭과의 상담을 서술하며 저자가 독자에게 한 말 

I'm always working with John on identifying his in-the-moment feeling because feelings lead to behaviors. Once we know what we're feeling, we can make choices about where we want to go with them.
잭은 초반에 꺼내 쓸 수 있는 감정이라고는 분노밖에 없는 사람처럼 나온다. 그 사람을 보면서 자기 감정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하면 저렇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감정은 그냥 느끼는 거 아니야? 했는데, 감정도 '알아야' 한다는 것. 감정을 알아야 내가 원하는 선택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6. 상담가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Therapy won't make all my problems disappear, prevent new ones from developing, or ensure that I'll always act from a place of enlightment. Therapists don't perform personality transplants; they just help to take the sharp edges off. A patient may become less reactive or critical, more open and able to let people in. In other worlds, therapy is about understanding the self that you are. But part of getting to know yourself is unknow yourself- to let go of the limiting stories you've told yourself about who you are so that you aren't trapped by them, so you can live your life and not the story you've been telling yourself about your life. 

상담가는 내담자가 진짜 자기 삶을 살게 돕는다. 어떻게? 자신에 대해 이해하게 도움으로써. 여기서 자기 이해가 실은 자기를 모르게 되는 것, 자신에 대해 스스로 말해왔던 모든 스토리들을 흘려보내는 것이라고 설명한 게 인상적이다. 편견은 타인에게만 갖는 것이 아니다. 나 자신에게도 편견을 갖는다. 상담가는 내담자의 자신에 대한 고정된 스토리와 편견을 해체함으로써, 진정한 자기 이해에 도달하게 돕고 자기 인생을 살도록 한다. 나는 이 구절을 읽으면서 나를 어떤 이야기로 나를 가두고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이 책에서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 한편으로 든 생각.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내담자가 자기 이해를 위해 한 세션당 최소 20만원은 하는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순 없잖아? 그래서 좀 더 본질로 들어가 보면 인류사에서 고대부터 존재했던 종교가 왜 아직도 건재한지 납득이 됐다. 결국 다들 자기를 이해해 보려고 하는 몸부림이잖아.  

 

7. 웬델의 조언:  주파수 바꾸고, 바를 돌아서 나와! 

I'm reminded of a famous cartoon. It's of a prisoner, shakering the bars, desperately trying to get out -  but to his right and left, it's open no bars. All the prisoner has to do is walk around. But still, he frantically shakes the bars. That's most of us. We feel completely stuck, trapped in our emotional cells, but there's a way out - as long as we're willing to see it. 

 

Most of us come to therapy feeling trapped- imprisoned by our thoughts, behaviors, marriages, jobs, fears, or past. Sometimes we imprison ourselves with a narrative of self-punishment. If we have a choice between believing one of two things, both of witch we have evidence for - I'm unlovable, I'm lovable - often we choose the one that makes us feel bad. Why do we keep our radios tuned to the same static-ridden stations (the everyone's life is better than mine station, the I can't trust people station, the nothing works out for me station) instead of moving the dial up or down? Change the station. Walk around the bars. Who's stopping us but ourselves? There's a way
out - as long as we're willing to see it. A cartoon taught me the secret of life. 
반복적으로, 다소 강박적으로 전남친 욕을 하며 힘듦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로리에게 웬델이 만화에서 본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내담자를 죄인에 비유한다. 사람들은 과거에 갇혀 옴짝달싹 못한 상태로 마치 감옥에 갇히 죄인처럼 상담가를 찾아온다는 것. 하지만 창살 옆에는 사실 아무것도 없다. 그냥 창살을 피해 돌아나오면 된다. 그리고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이 계속 들려오면  라디오 다이얼 돌리듯 채널을 바꿔보자. 해결책이 필요해? 찾고자 한다면 언제나 길이 있다. 이것이 인생의 진리다. 

 

8. 시한부 인생 대학교수 줄리는 왜 갑자기 마트에서 일했을까?  

With a shortened future, she imagined doing work where she could see tangible results in the
moment - you pack groceries, you cheer up customers, you stock items. At the end of the day, you've done something concrete and useful.   

 

<숨결이 바람될 때>의 저자, 폴 칼라니티가 생각났던 구절이다. 죽음을 코앞에 두고 폴 칼라니티는 가족과의 시간을 더 늘리거나 레저활동에 시간을 쓰지 않는다. 오히려 평소처럼 8시간이 넘는 수술에 매진하고 계속 환자를 보는데, 나는 당시 이것이 의사가 그의 오랜 목표였기 때문에 그 꿈을 계속 이어나가려는 의지로 보았다. 하지만 줄리 케이스를 보면서 내가 잘못 생각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대학교수인 줄리가 하는 연구직과 달리 의사의 수술 업무는 육체 노동에 가까운 일이고, 마트 캐셔처럼 콘크리트하고 유즈풀한 결과물을 몇 시간 내에 볼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숭고한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줄리와 같은 이유로 폴 칼리니티도 수술에 매진했던 게 아닌가 싶다. 마찬가지로 청소가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 있는 이유가 아닐지. 
이 케이스들을 죽 보면서, 내 삶이 만약 막막하고 힘들 때가 있다면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 중에서 concrete and useful한 일을 찾아 해 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9. 맞지 않는 남자와 잘못된 관계를 되풀이하는 샬럿, 왜 그럴까? 

 

What most people mean by type is a sense of attraction - a type of physical appearance or a type of personality turns them on. But what underlies a person's type, in fact, is a sense of familiarity. It's no coincidence that people who had angry parents often end up choosing angry partners. (중략) Why would people do this to themselves? Because the pull toward that feeling of home makes what they want as adults hard to *disentangles from what they experienced as children. (중략) It's that they want to master a situation in which they felt helpless as children. Freud called this 'repetition compulsion'. 

* disentangle: (혼란스러운 생각) 구분하다, 풀어주다 

 

The therapist Terry Real described our well-worn behaviors as "our internalized family of origin. It's our repertoire of relational themes." People don't have to tell you their stories with word because they always act them out for you. Often they project negative expectation, this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with a reliable and *benovolent person changes the patients; the world, they learn, turns out not to be their family of origin. (중략) Everytime she meets an available guy who might love her back, her unconscious rejects his stablity as 'not interesting'. She still equates feeling loved not with peace or joy but with anxiety. And so it goes. Same guy, different names, same outcome. 

*benevolent: 자애로운 (자선단체로도 쓰임) 

 

10. 왜 자꾸 내 인생에 대해 남에게 조언을 구할까? 

Children spend their childhoods begging to make their own decisions. Then they grow up and plead with me(=상담사) to take that freedom away. 

"Tell me. what would you do?" Behind my questions lies the assumption that Wendell is more competent human being than I am. Sometimes I wonder, Who am I to make the important decisions in my own life? Am I really qualified for this?
Everyone wages this internal battle to some degree: child or adult? safety or freedom?
 
No matter where people fall on those continuums, every decision they make is based on 2 things: fear and love. Therapy strives to teach you how to tell 2 parts. 

 

어린 시절에는 그토록 내 마음대로 하게 해달라고 애원했으면서 자라서는 상담가를 찾아가 제발 답 좀 내려달라고 애원하는 아이러니. 그 이유는 상대가 나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내가 뭐라고 이렇게 중요한 결정을 내려? 하는 자기 불신 때문. 상담사의 역할은 답을 주는 게 아니라 환자가 내리는 모든 결정이 두려움과 사랑, 이 두가지로 인해 벌어지는데 그 중 어떤 것에 의한 것인지를 잘 살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결국 인생의 모든 결정은 본인이 내리는 것이고, 어린 시절처럼 자기 주도적인 자세가 필요하단 인사이트를 주었다. 

 

11. 시한부 줄리의 말: 지금의 나를 그리워하게 될 거야. 

I'm also going to miss myself. All those insecurities I'd spent my life wanting to change? I was just getting to a place where I really like myself. (중략) She goes on to name all the things she wishes she'd appreciated more before she got sick: Her breats, which she used to think weren't perky enough until she give them up; her strong legs, which she often thought were too thick, even though they served her well in marathons.   

 

죽음을 앞둔 줄리의 말을 듣고, 나를 좀 더 사랑해 줘야겠다고 생각했다. 작다고 불평했던 내 가슴도, 굵다고 미워했던 다리도 모두가 그리워질 거라는 말. "변화는 필요없어, 지금 이대로 충분해!" 라는 말을 나에게 해 준 적이 있던가? 

 

12. 왜 그렇게 허겁지겁 삽니까? 오늘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데! 

Patients have trouble slowing down or paying attention or being present. That's why they are in therapy. My life wasn't much different, at least during this phase(인턴십 할당 시간만큼 연수 받느라 바쁠 때). The faster finished my work, the sooner I'd get to spend time with my son, and then the quicker we could do the bedtime routine, the quicker I could get to bed so that I could wake up the next day and hurry all over again. And the quicker I moved, the less I saw, because everything became a blur. But this would end soon, I reminded myself.
'Once I finished my internship, my real life would begin.'
워킹맘인 저자가 길고 힘든 인턴십 과정을 거치며 스스로에게 되뇌는 모습이 꼭 나 같았다. 매일 빨리 일을 해치우기 위해 서두르고, 서둘러 애를 재우고, 다시 또 다음 날 서둘렀던 하루를 다시 반복하고. 그나마 저자는 인턴십이 언젠가 끝날 거라는 희망이라도 있었지 나는 그마저도 없는 일상이었다. 저자가 나이는 계속 먹지, (심지어 많지), 그런데도 아직도 까마득하게 많이 남은 인턴십 기간을 한탄하는 모습을 보고, 슈퍼바이저가 한 말이 인상적이다. 

 

You'll turn thiry or forty or fifty anyway, whether your hours are finished or not. What does it matter what age you are when that happens? Either way, you won't get today back.  
너무나 식상하지만, 너무나 중요한 말. "오늘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오늘을 빨리 지나가 버리길 바라고 견뎌야 하는 시간으로만 여기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모든 것을 빨리 빨리 해치우며 살았던 당시의 내가 불행했던 이유를 찾았다. 

 

13. 그렇게 종종거리며 아꼈던 시간 어디에 쓰니? 

 

They imagined that they were rushing now in order to savor their lives later, but so often, later never came. The psychoanalyst Erich Fromm had made this point more than 50 years earlier: "modern man thinks he loses something -time- when he does not do things quickly; yet he does not know what to do with the time he gains except kill it." 

 

읽으면서 너무나 찔렸다. 그렇게 종종거리며 아꼈던 귀한 시간을 저는 겨우 인터넷 서핑에다가 씁니다! ㅠㅠ 

 

14. 욕망(want)이란 결국엔 결핍과 같은 말. 모두의 공통적 욕망(=결핍)은 관계 문제. 

Want is a sense of a desire. But I also began to think of the term slightly differently, as referring to the other sort want - a lack or deficit. If you'd asked me when I started as a therapist what most people came in for, I would have replied that they hoped to feel less anxious or depressed, to have less problematic relationships. But no matter the circumstances, there seemed to be this common element of loneliness, a craving for but a lack of a strong sense of human connection. A want. They rarely expressed it that way, but the more I learned about their lives, the more I could sense it, and I feel it in many ways myself. 

 

15. 왜 우리는 찰나의 시간에도 폰을 들여다 보는가? 다 고독해서 그래~ 

The second people felt alone, I noticed, usually in the space between things - leaving a therapy session, at a red light, standing in a checjout line, riding the elevator - they picked up the devices and ran away from that feeling. In a state of perpectual distraction, they seemed to be losing the ability to be with others aand losing their ability to be with themselves. 

 

16. 자기 파괴는 왜 일어나는가? 

It may not be what I want, but at least I'll choose it. Like cutting off my nose to spite my face, this is a way to say, Take that, uncertainty. Self-sabotage as a form of control. If I screw up my life, I can engineer my own death rather than have it happen to me. If I stay in a doomed relationship, if I mess up my career, if I hide in fear instead of facing what's wrong with my body, I can create a living death- but where I *call the shots. 

* call the shots = control 

 

Wendell isn't here to save me as much as to guide me through my life as it is so that I can manage the certainty of uncertainty without sabotaging myself along the way. Uncertainty, I'm starting to realize, doesn't mean the loss of hope - it means there is possibility. I don't know what will happen next - how potentially exciting! 

 

자기 파괴는 삶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한 방법이라고 한다.  저자는 상담가인 웬델을 통해 자기 파괴 말고 다른 방식으로 삶의 불확실성을 다루는 법을 배웠다고 한다. 그 방법은 불확실성이 희망의 상실이 아니라 가능성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식상하지만 당연한 말이라서 밑줄 그었다. "인생은 예측불허, 그리하여 생은 의미를 가진다."라는 말은 이미 신일숙의 <아르미안느의 네 딸들>에도 나온다고요. 

 

17. 인류 공통의 근원적인 근심 4가지 

The 4 ultimate concerns are death, isolate, freedom, and meaninglessness.

 

- 죽음: 여기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생물학적 죽음뿐만 아니라, 젊음의 상실 같은 것도 의미한다.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사람은 자라는 걸 멈춘다. 때로는 자기 파괴의 길로 들어서기도 하고, 죽음 그 자체를 부인한다. 하지만 죽음을 제대로 직면하는 것은 우리의 삶을 더 충만하게 만든다. 이 책에 나온 줄리의 사례가 여기에 딱 맞는다.
- 자유: 우리는 자유로우나, 자유롭지 않다. 나이가 들수록 젊은 시절과 달리 한계가 명확해 진다. 반면 아이들은 어른과 달리 부모의 품 안에서 제약이 많지만 감정적으로 매우 자유롭다. 큰 꿈을 꾸기도 하고 욕망을 솔직하게 말한다. 우리가 좀 덜 근심하려면, 감정적으로 다시 자유로워져야 한다. 

 

18. 인간의 행동은 어떻게 변하는가? 

1980s, James Prochaska's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TTM)
1단계: pre-contemplation 
2단계: contemplation 
3단계: preparation 
4단계: action 
5단계: maintenance 
 What we(=심리 상담가) can do is try to help them underdstand themselves better and show them how to ask themselves the right questions until something happens-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 that leads them to do their own persuading. 

 

상담가는 각 단계마다 적절히 개입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한다. 상담사의 역할이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모델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상담사는 내담자에게 직접적으로 조언하거나 지시하거나 설득하지 않는다. 다만, 자기 이해를 돕고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법을 보여준다고 했다. 

 

19. 환경은 바꾸지 못해도 내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반응하는 태도

Everything can be taken from a man but one thing: the last of the human freedoms- to choose one's attitude in any given set of circumstances. (중략) 
Between stimulus and response there is a space. In that space is our power to choose our response. In our response lies our growth and our freedom. 

- <Man's search for meaning> written by Frankl 

 

We can choose our response. 
reacting(reflexive)  vs responding(chosen)  

 

앞에서도 같은 이야기가 나왔다. 감옥에 갇혀 바를 잡고 흔들고 있지만 실은 'the jail cell is open on both sides' 이기 때문에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어떻게 응답하고 행동해야 할지. 

 

20. 우울의 연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 

 

Pain can be protective; staying in a depressed place can be a form of avoidance. Safe inside her shell of pain, she doesn't have to face anything, nor does she have to emerge into the world, where she might get hurt again. Her inner critic serves her. : I don't have to take any action because I'm worthless.

 

뭔가를 계속 반복적으로 하고 있고, 그것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면 그것이 분명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 그것은 실은 고통이 현실 회피의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단 것.